금형
똑같은 형태의 결과물을 반복 생산하기 위한 틀 중 금속으로 만들어진 형틀로
공장 및 대량 생산의 필수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당장 비슷한 예시로는 붕어빵 기계가 있다.
추가로 상, 하단으로 나뉘어 기계운동으로 찍어낼 때 움직이는 가동측과 고정측이 만나 얇은 선이 생긴다.
이를 피팅 라인이라고 하며 완성된 결과물을 금형에서 밀핀이라는 것으로 밀어내는 작업을 하는데,
이 때 동그란 자국이 생긴다. 이를 밀핀 자국 또는 핀 자국 이라고 한다.
사출 금형
고열 상태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금형에 주입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가공 방법
사출 금형 장점
- 대량 생산: 한번 제작한 금형으로 많은 부품을 동일한 품질로 제작이 가능하다.
- 품질: 금형을 통해 제작된 부품은 정밀하여 부품 간 편차가 적기때문에 높은 품질과 제품 일관성을 가진다.
- 복잡하고 정밀한 형상: 다른 제조 방법에서는 어려울 수 있는 복잡한 형상과 디테일을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다.
- 자동화: 높은 수준의 자동화가 가능하여 인건비 절감과 함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 재료: 다양한 재료의 플라스틱과 합성물 사용이 가능하고, 필요한만큼의 재료만 상요하여 재료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사출 금형 단점
- 디자인 변경 어려움: 제작된 금형은 디자인 변경이 어렵거나 추가 비용이 발생하기때문에 신중히 작업해야한다.
- 초기 비용 높음: 금형 제작 비용이 높기때문에 대량 생산이 아닌 경우 비효율 적이다.
프레스 금형
사출 금형이 플라스틱을 붕어빵처럼 녹여서 굳혀 만드는 형틀에 가깝다면
프레스 금형은 상하 왕복운동으로 금속을 절단, 굽힘, 찌그러트리는 금속 가공계 금형이다.
장단점은 사출 금형과 유사하다.
프레스 금형 가공법
- 커터: 소정의 모양으로 절단하는 절단 가공법
- 다이와 펀치: 필요한 모양을 따내는 따내기 가공법
- 드로잉: 필요한 모양으로 굽힘 가공, 이음매가 없는 원통을 만드는 가공법
적용 분야
사출 금형은 플라스틱 제품을 양산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부품, 휴대폰 케이스 등 복잡한 형태와 디테일한 디자인이 필요한 제품에 적용된다.
프레스 금형은 금속 제품을 제작할 때 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자동차 부품, 컴퓨터 부품 등 사출 금형과 같이 대량으로 같은 형태의 제품을 생산할 때 적용된다.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선의 색상 규정 변경과 단상, 3상4선 뜻 (0) | 2024.09.11 |
---|---|
다이캐스팅(Die-Casting) (0) | 2024.08.19 |
금속 사출(MIM)이란? (0) | 2024.08.16 |